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제기한 우려는 결코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니다.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당원투표 비율을 50%에서 70%로 늘리고, 국민여론 반영 비율을 낮추는 방안은 ‘당심 강화’라는 명분 아래 민심을 스스로 차단하는 위험한 시도다.
윤 의원이 “민심이 곧 천심”이라고 강조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정당은 국민의 지지 위에 존재하며, 민심을 향한 촘촘한 감각을 잃는 순간 곧장 표류한다는 사실을 한국 정치사는 수없이 증명해 왔다.
지방선거는 당대표를 뽑는 내부 경쟁이 아니라 국민 앞에서 후보들이 직접 평가받는 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줄이고 내부 결속만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칙을 손질한다면, 이는 승리를 위한 전략이 아니라 자멸로 향하는 지름길에 가깝다.
윤 의원이 “민심이 떠난 자리를 당심으로 채우는 것이 확장의 길이 되겠느냐”고 반문한 대목은 국민의 상식과 정확히 맞닿아 있다.
정당은 스스로를 위한 폐쇄적 울타리가 아니라, 국민의 삶에 책임지는 정치 공동체다.
최근 사법부 압박 논란, 대장동 항소 포기 문제 등으로 야당에 대한 국민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은 이미 여론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도 여당 지지율이 반등하는 이유는 단순히 여당이 잘해서가 아니다.
윤 의원의 분석처럼 ‘성찰과 혁신 없이 흔들리는 야당’에 대한 실망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민심을 더욱 멀어지게 만드는 제도 개편을 추진한다면, 그 자체가 또 다른 악재가 돼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정치는 바다 위의 배와 같다.
방향을 바꾸려면 돛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방향키를 잡아야 한다.
그리고 그 방향키는 언제나 민심이다.
출렁이는 파도 속에서도 국민의 목소리를 가장 앞자리에서 듣고, 그 판단을 정책과 공천 과정에 반영해야 비로소 항로가 바뀐다.
민심과 어긋난 당심은 결국 정당을 좁고 깊은 수렁 속으로 밀어 넣을 뿐이다.
이제 국민의힘은 선택해야 한다.
국민과 함께 앞으로 나아갈 것인가, 아니면 스스로 만든 성벽 안에서 내부 경쟁에 몰두할 것인가. 민심을 거슬러 이긴 정당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윤상현 의원의 지적은 비판이 아니라 경고에 가깝다.
정당이 민심 앞에서 더 투명해지고 더 겸손해져야 한다는 당연한 명제를 다시 확인해야 할 때다.
국민이 등을 돌리면 어떤 전략도, 어떤 공천도 소용없다. 민심이 떠난 정당에 미래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