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뉴스 이정규 기자]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최근 대만 유사(有事) 시 일본의 군사적 대응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중국이 즉각 강력 반발하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만약 전함 등이 동원되는 무력 충돌 상황이라면 일본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대만 사태를 일본 안보와 직결된 사안으로 규정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해당 발언을 ‘레드라인을 넘은 것’으로 규정하고 연일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중국 외교부는 “일본이 대만 문제에 대해 충격적이고 잘못된 신호를 보냈다”며 발언 철회를 요구했다.
또한 중국 관영 매체들은 이번 발언이 일본이 사실상 대만 문제에 군사 개입할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시사한 것이라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경제·외교적 대응도 잇따랐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추가 규제 검토, 자국민 대상 일본 방문 자제 권고 등을 내놓았고 일본기업에 대한 경고성 발언도 이어졌다.
일부 중국 강경파는 SNS에서 일본 지도부를 정면으로 비난해 외교적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오사카 중국 총영사의 자극적 표현이 논란이 되자 일본 정부는 즉각 항의하며 대응 강도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일본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 철회 요구에 대해 “정부의 기존 입장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다”라며 물러서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다만 향후 구체적 군사 상황에 대한 언급은 자제하겠다고 밝혔으나 중국의 반발을 누그러뜨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일본의 안보인식 전환이 중국과의 갈등을 구조적으로 심화시킬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집단적 자위권 관련 법제도를 근거로 대만 사태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기존의 ‘전략적 모호성’에서 벗어난 움직임으로 양국의 외교·안보 충돌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은 대만 문제가 “핵심 이익이자 절대 불가침 영역”이라고 재차 강조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고, 일본은 중국의 경제·외교적 압박에 “부당한 내정 간섭”이라며 반박하고 있어 양국 갈등이 단기간에 봉합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