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옛 제물포캠퍼스 전경. (사진=허종식 의원실)
인천대학교 옛 제물포캠퍼스 전경. (사진=허종식 의원실)

[한국뉴스 이정규 기자]  10년째 방치된 인천대 제물포캠퍼스 부지개발을 위해 인천대가 인천도시공사에 토지를 현물로 출자하고 도시공사가 공공복합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3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이 같이 말하며 슬럼화된 캠퍼스 부지를 민간시행사에 의한 상업용지 개발 대신, 대학의 현물출자를 토대로 인천도시공사가 공공복합개발 방식으로 재기획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2년 2월 인천대에서 나온 ‘인천대 제물포캠퍼스 개발구상안 수립 용역’에 따르면 캠퍼스 부지 22만1298㎡ 에 대해 교육시설용지(12만9327㎡, 58.4%), 상업시설용지(6 만9978㎡, 31.6%), 공원(1만7941㎡, 8.1%), 도로(4052㎡, 1.9%) 등으로 토지이용계획이 마련됐다.

교육시설용지는 R&D, 연구시설 등을 도입하고 공원시설용지에 도서관, 스포츠센터, 평생학습센터 등을 건립해 기부채납하는 등 공공기여 방안이 담겼다.

교육시설과 주민편익시설, 기반시설 사업비는 상업용지 개발수익으로 활용한다고 돼 있다.

이 용역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허 의원은 인천대 구상이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로 판단했다.

인천대가 추산한 제물포캠퍼스 상업용지 매각비용은 2천457억원(2021년 1월 인근 상업용지 공시지가 기준)이며 학교 측은 이를 송도 부지 매입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인천대는 송도 11공구(10만9443㎡)와 송도 4공구(10만9640㎡)를 인천시로부터 조성원가로 제공받기로 했는데 매입비로 각각 849억원, 1천310억원 등 총 2158억원이 필요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제물포캠퍼스 교육용지와 주민편익시설 등에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이 298억원에 불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민간개발 사업자가 나설 때까지 캠퍼스는 계속 방치될 수밖에 없고 민간사업 리스크 우려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허 의원은 지적했다.

허 의원은 "대학이 상업용지를 민간개발사에 매각해 차익을 투자하는 방식으론 한계 가 있다”며 “국내 국립대학법인이 토지개발을 토대로 수익사업을 진행한 경험과 사례가 없는 만큼, 도화지구 도시개발사업 방식처럼 토지를 현물로 출자해 인천도시공사가 나서는 게 해법”이라고 했다 .

사업방식을 재검토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무상양여 계약’이 꼽혔다.

2020년 6월 인천시와 인천대가 체결한 ‘공유재산 제물포캠퍼스 무상양여 계약서’ 2 조에는 ‘제물포캠퍼스를 해당 지역 원도심 활성화와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10년 이상 사용해야 하고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에 반영된 시가화용지(상업용지)는 학교 발전 목적을 위해 사용·수익 할 수 있다’고 명시됐다.

현재 인천대는 성지관(학산도서관) 건물을 평생교육원으로 활용하고 있을 뿐 시민들에게 개방됐던 주차장까지 유료화하는 등 사실상 캠퍼스 폐쇄 상황이다.

계약 체결에 앞서 인천시에 제출했던 ‘학교 시설 주민 개방’은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에 무상양여 관련 '계약사항 미이행' 논란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는 대목이라고 허 의원은 주장했다.

허 의원은 “젊은 층 유입 등 성공한 사업으로 평가받는 도화지구 ‘금싸라기 땅’이 왜 방치되고 있는지 진단하고 사업방식 재기획 등 지역사회에서 공론화가 필요하다"며 “의원실 대안을 계기로 워터파크 유치, 호수공원 조성 등 앵커시설 도입까지 검토함으로써 제물포캠퍼스 부지가 도화지구 입주민들의 편의 증진 및 일대 원도심 발전의 기폭제 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한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