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말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서 나온 지역별 특화 방안 재확인

인천국제공항에서 진행되는 항공기 정비, 수리 등 MRO 관련 모습. (사진=인천공항공사)

[한국뉴스 박평순 기자]  인천국제공항이 해외 복합 항공정비산업(MRO)의 최적지라는 것이 정부로부터 재확인됐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2일 발표된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경상남도 사천공항은 기체중정비 및 군수를, 인천공항은 해외 복합 MRO업체 유치 등을 맞춤형으로 특화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국토부가 2019년 말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역할 분담 카드를 내놓은 것과 일맥상통하다.

당시 국토부는 사천공항은 기체 중정비 위주로, 김포공항은 저비용항공사(LCC) 경정비, 인천공항은 화물기 개조 및 엔진업체 등 복합 MRO 유치로 해법을 제시했다.

다만 국토부는 정부·지자체·공항공사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간 이견 조정 및 상생방안 논의를 통해 클러스터 조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예를 들어 인천공항에 입점한 해외 복합 MRO업체가 항공기 개조사업 시 필요한 부품을 사천지역 업체와 협력해 조달하는 방안 등이다.

국토부는 지역특화 MRO 클러스터 개발을 통해 분산・추진되고 있는 MRO클러스터 간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지역별 특화분야 육성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앞서 인천공항 4단계 건설기본계획을 통해 제2여객터미널(T2) 인근에 1천600만㎡ 규모의 MRO단지를 추진하기로 한 상태다.

인천공항에 MRO단지가 조성되면 항공기 정비를 위해 해외로 지불되는 연간 1조 원이 넘는 외화 유출을 막을 수 있고, 관련 기업 유치와 약 2만 개의 일자리 창출로 인천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분석된다.

MRO단지의 생산 유발 효과는 최소 1조 원에서 최대 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여객이 아닌 화물 및 항공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에 대해 경남 사천 등은 MRO산업이 사천과 인천으로 분산되면 중복 투자로 혈세가 낭비되고, 전국 항공부품 제조기업의 절반 이상이 경남에 집중된 만큼 인천공항 해외 복합 MRO사업 유치를 반대해 왔다.

이에 대해 지역구 의원인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은 “정부가 인천국제공항이 MRO 최적지라는 것을 재확인한 것을 환영하며 이에 걸맞게 적극 지원에 나서달라”며 "인천국제공항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항공정비산업 클러스터를 활성화해 인천이 항공정비산업의 세계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산업 경쟁력 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